


OVERVIEW
발로란트는 글로벌 e-스포츠 리그를 통해 폭넓은 팬덤을 형성한 게임으로, 강렬하고 세련된 비주얼과 뚜렷한 캐릭터성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성은 전 세계적인 화제성과 높은 팬 참여를 만들어내며, 게임 커뮤니티의 결속력을 강화합니다.
WILLO는 발로란트 5주년 기념 브랜드 필름을 제작하였습니다. 게임 인플루언서와 e-스포츠 경기 영상 위에 강렬한 타이포그래피,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더해 발로란트 특유의 역동적인 에너지를 극대화했습니다.
Valorant has built a global fandom through its renowned e-sports league, celebrated for its bold, stylish visuals and distinctive character identity. These qualities have made it one of the most talked-about games, strengthening community engagement worldwide.
WILLO produced the 5th Anniversary Brand Film for Valorant. By layering striking typography, graphics, and animations over influencer content and esports highlights, we amplified the game’s dynamic and energetic mood.
WILLO는 발로란트 5주년 기념 브랜드 필름을 제작했습니다. 팬들 사이에서 유명한 장면들로 구성된 편집본은 VIVID 스튜디오가 1차 편집을 담당했고, 그래픽과 콜라주 작업은 WILLO와 박예람 작가가 나누어 협업했습니다. WILLO는 인트로와 아웃트로, 타이포그래피, 콜라주와 그래픽 디자인 작업을 통해 발로란트 특유의 강렬하고 역동적인 무드를 극대화했습니다.
For Valorant’s 5th Anniversary Brand Film, VIVID Studio handled the first edit using iconic gameplay moments beloved by fans. WILLO and Yeram Park collaborated on the graphics and collage work, splitting tasks frame by frame. WILLO was responsible for the intro, outro, typography, as well as collage and graphic sequences—amplifying Valorant’s bold and dynamic visual mood.
Tone & Manner
인트로 ; 강렬한 성격
브라이트 톤의 발광하는 컬러와 디지털 콜라주 기법을 활용해 팝아트적인 분위기를 끌어왔습니다. 난폭한 아티스트가 낙서하듯 시선을 사로잡는 타이포와 강렬한 컬러감을 더해, 오프닝부터 보는 이를 몰입하게 만듭니다.
브라이트 톤의 발광하는 컬러와 디지털 콜라주 기법을 활용해 팝아트적인 분위기를 끌어왔습니다. 난폭한 아티스트가 낙서하듯 시선을 사로잡는 타이포와 강렬한 컬러감을 더해, 오프닝부터 보는 이를 몰입하게 만듭니다.
Intro ; Bold Personality
Using bright, glowing colors and digital collage techniques, we brought in a pop-art-inspired atmosphere. Graffiti-like typography and vibrant color schemes created an eye-catching intro that instantly captures the audience’s attention.
Using bright, glowing colors and digital collage techniques, we brought in a pop-art-inspired atmosphere. Graffiti-like typography and vibrant color schemes created an eye-catching intro that instantly captures the audience’s attention.






그래픽 오버 ; 인플루언서 게임 영상
화질이 좋지 않은 실제 방송 영상 소스를 날것 그대로 사용하면서, 스프레이 질감, 종이 콜라주, 2D FX 기법으로 재가공했습니다. 완벽하게 다듬지 않은 원본의 거친 느낌을 살리면서도 그래픽적 질감을 입혀 분위기를 배가시켰습니다.
화질이 좋지 않은 실제 방송 영상 소스를 날것 그대로 사용하면서, 스프레이 질감, 종이 콜라주, 2D FX 기법으로 재가공했습니다. 완벽하게 다듬지 않은 원본의 거친 느낌을 살리면서도 그래픽적 질감을 입혀 분위기를 배가시켰습니다.
Graphic Over ; Influencer Gameplay Footage
We used raw, low-resolution broadcast footage as it was, enhancing it with spray textures, paper collage, and 2D FX techniques. By keeping the raw and unpolished aesthetic, we amplified the energy while adding graphic richness.
We used raw, low-resolution broadcast footage as it was, enhancing it with spray textures, paper collage, and 2D FX techniques. By keeping the raw and unpolished aesthetic, we amplified the energy while adding graphic richness.






캐릭터 & 밈 강조
인플루언서들의 초상과 팬덤 사이에서 레전드로 회자되는 밈 장면들을 강조하는 그래픽으로 시각적 재미를 더했습니다.
인플루언서들의 초상과 팬덤 사이에서 레전드로 회자되는 밈 장면들을 강조하는 그래픽으로 시각적 재미를 더했습니다.
Character & Meme Highlights
Visual graphics emphasized influencers’ portraits and legendary memes from the community, adding humor and relatability for fans.
Visual graphics emphasized influencers’ portraits and legendary memes from the community, adding humor and relatability for fans.








타이포그래피 & 애니메이션
영상 소스와 어우러지는 타이포그래피는 메시지를 직관적으로 전달하며, 발로란트를 즐기는 팬들과의 소통과 공감대를 형성합니다.
영상 소스와 어우러지는 타이포그래피는 메시지를 직관적으로 전달하며, 발로란트를 즐기는 팬들과의 소통과 공감대를 형성합니다.
Typography & Animation
Typography and animations were layered to complement the footage, directly delivering messages and building a sense of connection and empathy with the Valorant player community.
Typography and animations were layered to complement the footage, directly delivering messages and building a sense of connection and empathy with the Valorant player community.










아웃트로 ; Steady의 음악
박진감 넘치는 비트박서 Steady의 음악은 전체 영상의 긴장감과 리듬을 끌어올리며, 차곡차곡 쌓아온 기억들이 팬덤을 더욱 돈독하게 만든다는 메시지를 강화했습니다.
박진감 넘치는 비트박서 Steady의 음악은 전체 영상의 긴장감과 리듬을 끌어올리며, 차곡차곡 쌓아온 기억들이 팬덤을 더욱 돈독하게 만든다는 메시지를 강화했습니다.
Outro ; Music by Steady
The intense beats by beatboxer Steady played a key role in driving rhythm and tension throughout the film, underscoring the message that the shared moments and memories strengthen the Valorant fandom.
The intense beats by beatboxer Steady played a key role in driving rhythm and tension throughout the film, underscoring the message that the shared moments and memories strengthen the Valorant fandom.






CREDIT
Release : 2025
Client : RIOT Games, STUDIOVIVID
Project Manager : Duyeol Lee
Director : Youngjin Kim
Graphic : Willo, Yeram Park
Sound : STEADY
Client : RIOT Games, STUDIOVIVID
Project Manager : Duyeol Lee
Director : Youngjin Kim
Graphic : Willo, Yeram Park
Sound : STEADY
Production : Willo
Creative Director: Jisun Kim
Managing : Jisun Kim
Design Planning : Jisun Kim, SookYoung Ahn, Saemi Park
Designer : Jisun Kim, SookYoung Ahn, Saemi Park, Sang-eun Han
Animation : Jisun Kim, SookYoung Ahn, Saemi Park, Sang-eun Han